본문 바로가기
코인 크립토 web3/코인 토큰 개별정보

룩스레어(LOOKS) 란?

by Memepro 2023. 6. 10.
728x90

룩스레어(LOOKS)란?

룩스레어(LooksRare)는 모든 플랫폼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LOOKS 코인 보상하는 커뮤니티 중심 NFT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룩스레어의 스마트 계약을 통해 사용자는 NFT 모음을 비롯한 새로운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LOOKS 란 룩스레어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룩스레어(LooksRare) 란?

등장부터 기대감을 한 몸에 받으며 오픈씨 대항마로 불렸던 룩스레어(LooksRare)는 트레이더들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LOOKS 코인 홀더들에게 수수료 매출을 분배해주는 대체불가능토큰(NFT) 마켓플레이스입니다.

룩스레어의 스마트 계약을 통해 사용자는 NFT 모음을 비롯한 새로운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크리에이터, 수집가 또는 거래자 여부에 관계없이 LOOKS 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룩스레어는  플랫폼의 사용자와 빌더에게 보상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룩스레어 커뮤니티

Zodd와 Guts라는 익명의 개발자들이 만든 룩스레어는 ‘By NFT people, For NFT people(NFT 거래자들에 의한, NFT 거래자들을 위한)’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NFT 시장을 키우는 건 거래자들인데, 수익의 대부분은 NFT 거래 플랫폼이 가져가는 현상을 바꾸겠다는 것입니다.

룩스레어 팀은 블로그를 통해 “커뮤니티에 보상을 주는 것 대신 IPO(기업공개)만 추구하는 것에 지쳤다”고 밝혔습니다. 오픈씨 팀을 대상으로 한 말입니다. 오픈씨는 플랫폼 사용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대신 IPO를 추진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룩스레어는 참여 보상을 통해 NFT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룩스레어는 “오픈씨가 안 하면 우리가 하겠다”는 목표로 등장했습니다. 이 같은 목표를 위한 첫 단추로 오픈씨 사용자들에게 에어드랍을 실시했습니다.

 

 

룩스레어 LOOKS 코인 에어드랍

 

룩스레어가 인기를 끈 가장 큰 요인은 에어드랍입니다.

 

2021년 10월 8일에 런칭한 NFT 마켓플레이스인 Infinity는 오픈씨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체 토큰을 에어드랍하며 오픈씨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했지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며 실패를 맛보았습니다. 룩스레어는 Infinity처럼 토큰을 단순히 에어드랍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NFT 거래 및 스테이킹에 따른 대규모의 토큰 보상 정책을 실시하면서 오픈씨 사용자 및 NFT 시장 참여자들을 흡수하여 시장 제1의 NFT 마켓플레이스로 도약하려는 야망을 보였습니다.

 

에어드랍을 받기 위한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021년 6월 16일 ~ 2021년 12월 16일 사이에 오픈씨에서 3 ETH 이상 거래
  2. 룩스레어에 NFT를 적어도 하나 이상 리스팅 할 것

 

언뜻 보면 경쟁사의 사용자들에게 NFT를 에어드랍한 것이므로 이상해 보이지만, 사실 룩스레어는 오픈씨의 대항마로 올라서기 위해 이런 시도를 했습니다. NFT를 활발히 거래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오픈씨를 이용할텐데요. 오픈씨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토큰으로 혜택을 주고, 그 혜택을 더 받고 싶으면 플랫폼을 룩스레어로 옮기라는 뜻을 강하게 전달한 것입니다.

 

룩스레어 작동원리

룩스레어는 모듈식 스마트 계약으로 구축되어 플랫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출시할 수 있도록 합니다.이 로드맵은 선택된 컬렉션의 모든 NFT에 대한 입찰 옵션, 특정 특성을 가진 NFT에 대한 입찰, 한 번의 거래에서 여러 주문 취소와 같은 추가 혁신이 예상됩니다.

또한 룩스레어는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거래에 자체 토큰 룩스(LOOKS)를 보상으로 제공합니다. 룩스레어 사용자는 일별 배정된 LOOKS 리워드에 총 거래량 중 개인 거래량 비중을 곱해 보상액이 정해집니다. 개인이 받는 리워드를 자전 거래를 통해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룩스레어 보상 구조

‘커뮤니티 우선(community first)’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등장한 룩스레어는 자체 토큰($LOOKS)의 75%를 커뮤니티에 에어드랍했을 뿐만 아니라 매출을 100% $LOOKS 홀더들에게 분배하겠다고 선언하여 출시 즉시 크립토 업계에서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거래 수수료

LOOKS 코인을 스테이킹한 홀더들은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의 100%를 배당으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거래 수수료는 NFT 거래 가격의 2%이며, 배당은 wETH로 분배된다. 쌓인 배당금은 언제든 회수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보상

룩스레어에서 NFT 거래 시 거래량에 따라 LOOKS 토큰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되는 LOOKS 코인 보상은 최초 보상 지급일 기준 30일, 90일, 240일, 그리고 361일 이후 반으로 줄어듭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와 유사). 첫 30일 동안은 블록 당 441 LOOKS 코인을 지급하지만, 30일 이후인 2022년 2월 9일 UTC 9AM 부터는 (이더리움 기준 14,172,012번째 블록 생성 시점) 보상 금액이 블록 당 209.475 LOOKS로 감소합니다.

 

스테이킹 보상

룩스레어에는 커뮤니티의 스테이킹 리워드가 시드 투자자들과 팀에게 가지 못하도록 막는 메커니즘이 있다. 이는 시드 단계의 투자자들의 영향력을 점차 희석시키는 메커니즘이다. 그들은 처음에 스테이킹 가능한 물량의 20%를 보유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수치는 3.3%로 떨어지게 된다. 몇 년에 걸쳐서 말입니다.

 

180일차가 되면 수억 개의 LOOKS 토큰이 볼륨-리워드로 풀리며 수천만 개의 LOOKS가 스테이킹 리워드로 분배되게 됩니다. (에어드랍과 볼륨-리워드 (역자: 룩스레어에서는 거래가 성사될 때마다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거래 규모’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로 지급된 물량을 스테이킹한 유저들에게로 한정) 즉, 시드 단계의 구매자들이 보유한 토큰의 비율은 현저히 감소하게 됩니다.

 

LP 보상

유니스왑 V3에서 유동성 제공 시 획득하는 보상으로, LOOKS-ETH, LOOKS-WETH 페어 제공 시 지급되나 최초 보상 지급일 기준 37일(14,211,012번째 블록 생성 시점)이 지나면 보상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이후 유니스왑내 LOOKS 유동성은 팀이 직접 관리하게 됩니다.

 

728x90

 

룩스레어 VS 오픈씨

 

룩스레어(LooksRare)는 글로벌 NFT 거래소 선두를 달리고 있는 오픈씨의 대항마로 출범한 거래소입니다. 콘셉트 자체도 기존 오픈씨 유저가 겪는 불편함과 수익 배분의 불만을 수용해서 나온 서비스입니다. 다음은 룩스레어와 오픈씨의 차이점입니다.

 

수수료

오픈씨는 기본적으로 거래 수수료 2.5%에 컬렉션에서 결정한 수수료가 더해지는 시스템입니다. 이에 반해 룩스레어는 거래 수수료 2.0%와 거래에 따라 자체 토큰 룩스(LOOKS)를 보상으로 제공하는 리워드 정책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오픈씨보다 수수료가 낮고, 거래를 하면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인데요. 선두를 따라잡기 위한 마케팅 정책이긴 하나, 아직까지는 오픈씨에 비해 이용자와 거래 규모가 크진 않습니다.

 

스테이킹

오픈씨와는 다르게 NFT 구매 및 판매를 통해 발생한 거래 수수료를 유저들이 돌려받을 수 있도록 LOOKS 토큰 스테이킹 기능도 존재합니다.

룩스레어오픈씨

 

일일 거래량 2022 년 1월 10일에서 2월 10일 사이에 거래량이 오픈씨 추월 한때 룩스레어에게 추월당했지만 이후 역전, 거래량 유지
일일 사용자수 오픈씨보다 훨씬 적음 룩스레어보다 훨씬 더 많음
일일 거래 수 오픈씨보다 훨씬 적음 룩스레어보다 훨씬 더 많음
거래소 구조 탈중앙화 , 커뮤니티 중심 지향 벤쳐캐피탈에 의존하는 자본 지원 회사
토큰 LOOKS 없음

룩스레어 자전거래 논란

룩스래어는 서비스 개시 이후부터 오픈씨에서 3이더(ETH) 이상을 거래한 사람들에게 LOOKS를 나눠주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습니다.

 

외신들은 이같은 마케팅을 ‘뱀파이어 공격‘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뱀파이어 공격은 선발사업자와 똑같은 사업구조를 만들면서 보상구조만 유리하게 만들어 선밸사업자의 사용자를 뺏는 마케팅입니다.업계 관계자는 “지명도에서 크게 떨어지는 룩스래어 입장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이라면서도 “자전거래에 참여하는 투자자 수도 불분명하고 LOOKS 가격도 예측할 수 없어 지속 가능한 모델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래수수료의 100%를 룩스레어의 자체 토큰인 LOOKS토큰 스테이커들에게 WETH(뤱드 이더)로 분배하는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하지만 보상으로 지급된 LOOKS가 누적되며 결국 시장에 매물로 나와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공격적인 마케팅은 자전거래 논란으로 이어졌다. NFT 판매자와 구매자가 같은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거래액 부풀리기를 할때 흔히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룩스래어 사용자들이 LOOKS를 받기 위해 자기 NFT를 스스로 사고 파는 방식으로 거래액을 늘렸다는 것입니다.

 

가상자산 전문매체 크립토슬램은 룩스래어 거래의 95%가 워시 트레이딩이라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을 정도입니다. 83억달러 이상이 자전거래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자전거래는 동일한 사람 또는 사전합의를 거친 이들이 같은 가격과 수량으로 각각 매수/매도 주문을 내어 상호체결 시키는 것으로 실질 소유권 이전 없이 거래량을 부풀리는 수단입니다.

 

룩스레어의 경우 자전거래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통제할 수 있는 지갑들 사이에서 NFT를 사고 파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룩스레어에서 자전거래가 많은 것은 보상 모델과 관련이 깊다는 분석입니다. 디크립트 보도를 보면 룩스레어는 자사 플랫폼에서 NFT를 사고 파는 이들에게 자체 토큰인 룩스(LOOKS) 토큰을 보상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거래 매출 일부를 공유합니다.

 

 

LOOKS 코인

LOOKS(룩스레어)는 룩스레어(LooksRare)에서 사용되는 코인입니다.

 

LOOKS는 NFT 거래 플랫폼인 룩스레어의 네이티브 토큰이며 ERC-20 기반의 암호화폐이자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이기도 합니다. 룩스레어는 2022년 1월 정식 론칭한 커뮤니티 중심의 NFT 거래 플랫폼으로 ETH, WETH로 거래되고 WETH로 견적이 진행되며 네이티브 토큰 LOOKS도 함께 발행됩니다.

 

LOOKS 코인 토크노믹스

 

토크노믹스를 언뜻 보자면, LOOKS 코인 75%가 커뮤니티에게, 3.3%만이 초기 시드 투자자들에게 지급됩니다. 토큰 총발행량은 10억개입니다. 그중에

  • 에어드랍 12%
  • 유동성 매니징 1.7%
  • 전략적 세일 3.3%
  • 거래 리워드 44.1%
  • 스테이킹 리워드 18.9%
  • 팀 물량 10%
  • 재무부 10%

 

LOOKS 코인 받는 방법

  • 룩스레어에서 NFT 를 구매 & 판매하는 유저는 모두 LOOKS 토큰을 받습니다.
  • 플랫폼 거래 수수료 전부(100%) LOOKS 스테이커에게 돌아갑니다.
  • NFT 창작자는 판매되는 즉시 수익금 로열티를 받습니다.

 

LOOKS 코인 용도

LOOKS 유틸리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테이킹: LOOKS 토큰을 스테이킹할 경우 룩스레어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의 100%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룩스레어 거래 수수료는 2%입니다.

(2) 보상: 룩스레어를 이용하는 트레이더들은 LOOKS 토큰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룩스레어, 버전2 마이그레이션

 

2023년 4월 8일(현지시간)룩스레어(LooksRar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버전2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룩스레어 버전2는 프로토콜 수수료 감소와 가스 요금의 대폭 절감, 대량 구매와 대량 리스팅 등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기존 버전1이 2%의 수수료를 가지고 있는 반면, 버전2에서는 0.5%의 수수료만 부과됩니다. 또한 버전1의 가스비보다 약 30%가량 절감시켰습니다. 그리고 버전2에서는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70개 이상의 NFT를 대량 구매하거나 판매를 위한 대량 리스팅도 가능하다고 전했습니다.

 

구체적인 일정을 살펴보면, 오는 12일부터 룩스레어에서 제공하는 공개 API를 통해 버전1의 주문을 진행할 수 없는 것을 시작으로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됩니다. 13일부터는 룩스레어 버전1의 거래량에 따른 보상이 없어지며, 버전2에서만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동시에 버전1의 마켓플레이스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들이 비활성화될 예정입니다.

 

또한 이번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룩스레어는 버전2의 새로운 공개 API를 제공합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인 댑레이더(DappRadar)에 따르면 룩스레어는 현재 NFT 마켓플레이스 부문에서 총 거래량 1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출시 8년

이더리움 출시 8년, 무엇을 이루었나? 비트코인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을 지배하는 양대 블록체인 이더리움(ETH)이 출시 8주년을 맞았다. 31일(현지시간) 코인스피커에 따르면, 스마트 계약 기능을

phillipoh.tistory.com

 

문빔(Moonbeam)이란? GLMR 코인

문빔(Moonbeam) GLMR 코인 정보 문빔(Moonbeam,GLMR 코인)은 파라체인 간의 연동 및 연결을 지원하는 폴카닷(Polkadot)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입니다. 문빔을 사용하면 인기 있는 이더리움개발자 도

phillipoh.tistory.com

 

오픈씨에 NFT 민팅 방법, 비용의 모든 것

NFT 거래 플랫폼 별 비교 NFT 작품 거래 플랫폼 중에서 가장 사용자가 많은 곳이 바로 오픈씨(OpenSea)인데요. 전 세계의 창작자를 비롯해 투자자(아트 컬렉터)들이 많이 모여있기 때문에 NFT 작품 거

phillipo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