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 크립토 web3/코인 토큰 개별정보

저스트(Just)란? JST 코인

by Memepro 2023. 6. 28.
728x90

저스트(Just)란? JST 코인

저스트(JST)는 트론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플랫폼입니다. 트론 블록체인에서 운영되는 첫번째 디파이(DeFi) 프로젝트이며, 스마트계약 기반 분산형 스테이블코인 플랫폼입니다. 저스트는 전 세계 사용자에게 스테이블 코인 대출 및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공정하고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스트에는 두 가지 유형의 토큰으로 존재합니다. JST 코인 및 USDJ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저스트(Just)란?

저스트(Just)는 트론(TRON)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디파이(DeFi) 프로젝트(생태계)로 디파이 프로토콜을 개발 및 사용자들에게 금융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탈중앙화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정한 금융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저스트에는 두 가지 유형의 토큰으로 존재합니다. 첫 번째는 USDJ로 미국 달러와 1:1로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으로 JUST의 CDP를 통해 TRX 코인을 예치하여 생성됩니다.두 번째 토큰은 JST입니다. 저스트 플랫폼에서 이자를 지불하고 플랫폼을 유지하며 투표 및 기타 활동을 통해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데 사용됩니다.

 

저스트 플랫폼은 효율적인 위험 관리 및 제어를 위해 USDJ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은 균형 잡힌 위험 관리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민감한 매개변수와 목표 비율을 수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오라클을 선택하고, 가격 피드 민감도를 조정 또는 수정하고, 글로벌 결제자를 선택하고, 위험 관리 매개변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저스트 작동원리

저스트 플랫폼은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중개인 없이 자산을 관리하고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스트 플랫폼은 합의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신뢰성을 유지합니다. 저스트 플랫폼은 디파이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JST 토큰은 이 플랫폼의 생태계를 지원하고 가치 교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입니다.

 

저스트는 TRON의 파생물이기 때문에 기능과 보안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크게 의존합니다.

저스트플랫폼은 DPoS(Delegated Proof of Consensus)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을 보호하고 유지합니다. 블록체인에 추가할 데이터 블록을 검증하는 노드가 해시 퍼즐을 풀 수 있는 능력이 아닌 스테이크의 크기에 따라 선택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훨씬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작업 증명 블록체인보다 더 탄력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저스트(JST) 코인 개발 회사 및 개발 정보

 

저스트(Just) 트론의 개발자인 저스틴 선(Justin Sun)이 개발하였습니다. 그는 트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안정화가 필요하여 저스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베이징 대학을 나온 저스틴 선은 이미 학생 시절부터 남다른 발언과 행동으로 상당히 유명했습니다. 재학 중에도 항상 여러 가지 활동하며 우수한 성적을 뽐냈습니다. 저스틴 선은 중국에서 많이 쓰이는 모바일 페이인 페이워 앱의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현재 저스트 재단에서 저스트 코인의 생태계를 관리하여 개발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저스트 생태계는 Alibaba, Tencent, IBM 및 ‘기타 세계적인 인터넷 기업’ 출신으로 구성된 JUST 재단에서 관리하며, ‘여러 글로벌 투자은행’ 출신의 인재들이 JUST의 재무 분석팀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인사로는 블록체인 전문가이자 전 Barclays 및 IBM 직원인 Terance F, 수석 개발자이자 숙련된 블록체인 연구원인 Elvis Zhang, 암호화폐 지갑과 거래소 전문가인 C Wu, 숙련된 블록체인 엔지니어이자 암호화폐 얼리어답터인 GL Kong 등이 있습니다.

 

저스트 팀원들 대부분의 전체 이름과 프로필은 비공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TRON의 CEO이자 설립자인 저스틴 선(Justin Sun)이 플랫폼을 공개하고 트론(TRON)으로부터 기술 및 재정 지원을 받았다는 점에서 트론(TRON) 개발팀과 일부 중복되는 부분이 있는 듯 보입니다.

 

저스트(Just)의 발전 역사

저스트(Just)는 2020년 초 Poloniex LaunchBase 플랫폼에서 초기 거래소 공개(IEO)를 진행한 후 같은 해 8월에 출시되었지만, 플랫폼의 네이티브 거버넌스 토큰(JST)은 2020년 5월부터 유통되고 있습니다.

 

2020년 5월: 저스트(Finance) 프로젝트 출시

– 저스트(Finance)는 중국의 암호화폐 기업인 저스트썬(Justin Sun)이 이끄는 팀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프로젝트는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시되었습니다.

 

2020년 7월: JST 코인 발행

– 저스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토큰으로 저스트썬의 기업인 트론(TRON)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ERC-20 토큰으로 발행되었습니다. 같은 달에 저스트썬은 저스트 플랫폼을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연동시키기 위해 협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저스트 플랫폼은 이더리움 생태계와 상호 작용하고 상호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0년 9월: 저스트 플랫폼 런칭

– 저스트 플랫폼은 2020년 9월에 정식으로 런칭 되었습니다. 이후부터 사용자들은 저스트 플랫폼을 통해 대출, 예치, 거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1년 이후: 성장 및 개발

– 저스트 플랫폼은 지속적인 개발과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저스트썬과 팀은 저스트 플랫폼의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서비스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스트(Just) 디파이 서비스(생태계)

각 제품은 모두 상호 운용되고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유틸리티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1)저스트스테이블(JustStable)

저스트(JST)의 대표적인 탈중앙화 다중 담보 스테이블코인 플랫폼입니다.
저스트 스테이블은 USDJ 스테이블코인의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으로 언제 어디서나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USDJ라는 스테이블코인으로 대출을받거나 스테이킹하여 이자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저스트테이블에 저스트코인과 트론을 포함한 스테이킹된 코인들은 10억달러 (한화1조)정도가 스테이킹 되어있다고합니다.

 

2) 저스트렌드(JustLend)

사용자가 대출 풀에 유동성을 추가하고 저금리 암호화폐 대출을 받을 수 있는 TRON 기반 머니 마켓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가 대출, 대출, 자산 예치, 이자 등을 할 수 있는 트론 최초의 공식 대출 플랫폼이며,. 현재 이 플랫폼에서 USDT를 빌리는데 이자가 0.77%인 반면 예치해서 스테이킹을 하면 3.39%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합니다.

저스트랜드에 현재 예치되어있는 토큰의 가치만 따져보아도 2조원이 넘는금액이며 저스트스왑의 유저수도 무려 16만이 된다고합니다. 유니스왑에 비해 많다고는 할 수 없지만 결코 적지않은 숫자입니다.

 

3) 저스트크립토(Just Cryptos)

저스트 크립토는 트론 네트워크와 다른 퍼블릭 체인의 프리미엄 암호화폐를 연결하는 가교를 구축하고, 트론에 토큰 가치를 도입해 저스트 생태계에 동력을 공급합니다. 모든 자산이 저장되며 Poloniex에서 스왑할 수 있습니다.

 

4) 저스트스왑(JustSwap) 

무신뢰성 TRC-20 토큰 스왑과 무허가성 유동성 풀 생성에 사용되는 자동화된 마켓 메이커(AMM) 플랫폼입니다.

 

5) 저스트링크(JustLink) 

TRON 네트워크를 위한 최초의 탈중앙화 오라클 시스템으로, 스마트 계약을 실제 데이터에 안전하게 공급합니다.

 

6) 크로스 체인 토큰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을 포함한 기타 블록체인의 자산으로, 트론(TRON)에서 토큰화되어 저스트(JST) 생태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스트 토큰 : USDJ 및 JST 코인

저스트 플랫폼은 USDJ 및 저스트(JST) 코인을 중심으로 구축된 2토큰 생태계입니다. 플랫폼은 모든 트론(TRON)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공정하고 국경이 없는 DeFi 제품 허브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USDJ

USDJ는 미국 달러(USD) 가치에 연동된 다중 담보 스테이블코인(이며, JST는 이자 지급, 플랫폼 유지 및 플랫폼 거버넌스 참여 지원, 이자율(안정성 수수료) 및 최소 담보 비율과 같은 매개변수 설정 지원 등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저스트 플랫폼에서 USDJ를 받으려면 DeFi 부문에서는 CDP (Collateralized Debt Position) 포털을 통해 컨트랙트에 예치한 TRX 자산을 담보로 일정 비율의 USDJ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USDJ는 미국 달러에 1:1 비율로 고정된 스테이블 코인이며, Price Feeder와 Keeper는 CDP의 가격 설정과 안정화를 담당합니다.

 

 

저스트 플랫폼에서 트레이더는 트론(TRX)을 포함한 지원되는 담보 토큰의 형태로 담보를 예치해야 하며, 이는 PTRX 토큰으로 교환되어 부채담보부포지션(CDP)을 형성하는 담보로 잠깁니다. 예치된 담보 금액에 따라 사용자는 USDJ를 발행하고 출금할 수 있으며, 나중에 이를 상환하여 초기 담보를 회수해야 합니다.

 

 

JST 코인

JST는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따라서 거버넌스 부분에서는 TRC-20을 기반으로 한 JST가 거버넌스 관리를 위해 활용됩니다. 유저는 예치된 JST 를 통해 저스트 커뮤니티에서의 거버넌스 투표권을 얻게 된다. 이후, 유저는 커뮤니티 활동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방향성을 결정할 수있습니다. 또한 JST 토큰은 플랫폼 유지와 CDP의 안정화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결제된 JST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자동으로 소각됩니다. 이는 토큰의 공급을 조절을 통해 가격 안정화를 하기 위함입니다. 저스트 는 2분기에 개발자 SDK와 API doc을 구현할 계획이며 USDJ의 사용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USDJ 스테이블코인 시스템

 

저스트 플랫폼의 유저들은 담보부 부채 포지션(Collateralized Debt Positions, CDPs)에 트론 코인(TRX)을 예치함으로써 스테이블 코인인 USDJ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후 JST를 담보부 부채 포지션에 예치하고 담보 설정을 철회할 때,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728x90

 

USDJ는 원스톱 분산형 대출 서비스 플랫폼인 JUST 재단이 TRON 네트워크의 분산형 스마트 계약을 통해 발행합니다. 각 개인은 USDJ를 생성하기 위해 TRX를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USDJ 주택담보대출 시스템과 분산형 자율 인센티브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USDJ를 생성후 CDP에 담보 자산을 예치하여 발생합니다.

 

1) 담보 자산 확보

TRX을 PTRX에 대해 담보로하고 교환합니다. PTRX는 다음 주 자산에서 승인한 유일한 담보 자산이며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2) CDP를 만들어 담보 자산 예치

JUST로 트랜잭션을 보내 CDP를 생성한 다음 PTRX 입금에 다른 트랜잭션을 보냅니다. CDP에 넣어 USDJ를 생성합니다.

 

3) CDP를 통해 USDJ 생성

CDP 홀더는 CDP에서 생성된 USDJ의 양을 지정하는 트랜잭션을 보냅니다. 그러는 동안, 같은 양의 부채가 생성될 것이고, 담보 자산은 잠겨있을 것입니다. 빚을 갚기 전에는 상환할 수 없습니다.

 

4) 담보물 상환

담보물을 상환하기 위해, 채무는 다음을 지불한 안정성 수수료와 함께 USDJ로 상환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CDP 보유자는 JUST로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모든 항목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담보의 가격 폭락으로 인해 부채를 감당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면, CDP는 상환을 위한 담보물을 경매하기 위해 청산이 촉발될 것입니다. 채무와 위약금은 인출 시 CDP에 보관됩니다.

 

JST 코인

 

JST 코인은 저스트(Finance)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토큰으로서 유저들은 저스트(JST)를 예치(staking)하여 스테이빌리티(stability) 수수료, 담보화 비율, 담보 가능 자산의 성격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한 거버넌스 합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JST 코인은 직접 거래소에서 구매하는 방법 외에도 디파이 거래 혹은 채굴을 통해 수령할 수 있습니다. 수령한 JST 코인은 스테이킹(예치)을 통해 저스트 생태계의 수수료 결정, 담보 비율 결정등의 의사결정을 위한 투표권을 행사 할 수 있고 트론 네트워크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고 회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저스트 플랫폼은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자산을 관리하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에는 대출, 예치, 거래 등이 포함됩니다.저스트(JST) 토큰은 저스트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실행됩니다.

 

  • 발행 회사/개발자 : JUST Foundation
  • 종목 코드: JST
  • 기반 플랫폼: 트론 네트워크
  • 코인 발행 연월 (CMC 등록): 2020-05-07
  • 최대 공급량: 9,900,000,000 JST

JST 코인 분배

2018년 6월에 최초발행된 저스트(JST) 코인의 총 발행한도는 99억 JST입니다.

  • 퍼블릭 세일(LaunchBase 할당) 판매: 4%
  • 전략적 파트너십: 26%
  • 팀: 19%
  • 에어드랍 (TRX 홀더 전용): 10%
  • 생태계: 30%

 

1) 초기 판매:

JST 토큰은 초기에 저스트(Finance) 플랫폼을 개발한 팀에게 배포되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초기 개발과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할당된 토큰입니다.

 

2) 퍼블릭 세일(LaunchBase 할당) 판매:

JST 토큰은 퍼블릭 세일을 통해 일반 투자자에게 배포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투자자들이 저스트 플랫폼의 토큰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공된 기회입니다.

 

3) 에어드랍:

저스트 플랫폼은 사용자들에게 일정량의 JST 토큰을 에어드랍하는 방식으로도 분배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플랫폼을 사용하고 홍보하는 등의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제공되는 것입니다.

 

4) 스테이킹 및 보상:

JST 토큰 보유자들은 스테이킹을 통해 추가적인 JST 토큰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은 일정 기간 동안 토큰을 잠그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파트너십 및 생태계 보상:

저스트 플랫폼은 파트너와의 협력 관계를 통해 추가적인 JST 토큰을 분배하기도 합니다. 또한, 생태계 기여자들에게도 플랫폼에서 보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JST 코인 과거 가격 및 현재 시세

 

 

2020년 7월 31일에 JST 코인을 출시하여 초기 가격은 약 0.0137 달러였습니다. 8월에 최저점을 찍어 0.0023 달러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이후 가격이 다소 회복하여 0.017 달러까지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2021년 4월에 JST 코인은 상당한 상승을 기록하여 0.114 달러까지 도달하였습니다. 그 후에 상승세를 이어가며 0.378 달러까지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연말에 약 0.011 달러로 하락한 가격으로 마감되었습니다.

 

2022년에 암호화폐 시장이 약세를 겪음에도 불구하고 JST 코인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으며 최고 0.3476 달러까지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최저점을 찍어 0.1959 달러까지 하락하였습니다.

 

 

JST 코인의 용도

 

저스트(JST)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작동 원리로 저스트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JST 코인은 거래 수수료 지불, 보상 및 스테이킹, 거버넌스 참여, 사용자 보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저스트 플랫폼 내에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 플랫폼의 생태계에 기여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1) 수수료 지불

저스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를 지불하는 데에 JST 토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랫폼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거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보상 및 스테이킹

저스트(JST)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저스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보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네트워크의 보안 및 운영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은 일정 기간 동안 토큰을 잠그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거버넌스 참여

저스트(JST) 토큰 보유자는 저스트 플랫폼의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플랫폼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유자들은 프로토콜 개선에 대한 투표, 제안 등에 참여하여 플랫폼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4) 스마트 계약과 보안

저스트 플랫폼은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자산 관리와 거래 처리가 자동화되며, 신뢰성과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계약은 프로그래밍된 조건에 따라 거래를 처리하고, 중개인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공합니다.

 

저스트(JST) 토큰은 저스트 플랫폼의 활동을 지원하고 가치 교환에 사용됩니다.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보상 및 거버넌스 참여를 통해 추가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스트(JST)의 장점

저스트(JST)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인 저스트스왑(JustSwap)을 위한 토큰입니다. 저스트(JST)의 장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탈중앙화된 금융 (DeFi) 생태계: 

저스트 플랫폼은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중앙 기관 없이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들은 자신의 자산에 대한 소유권과 제어권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금융 기능

저스트 플랫폼은 대출, 예치, 거래 등 다양한 금융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자산을 대출 및 예치하고 거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과 비교하여 더 많은 유연성과 선택의 폭을 제공합니다.

 

3) 보상 및 스테이킹

저스트(JST) 토큰 보유자들은 저스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보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의 보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추가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더 큰 동기를 부여하고, 플랫폼의 생태계에 기여하는 사용자들을 보상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4) 토큰 보유자들에게 거버넌스 참여 기회 제공

저스트(JST) 토큰 보유자들은 저스트 플랫폼의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플랫폼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유자들은 프로토콜 개선에 대한 투표, 제안 등에 참여하여 플랫폼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5) 스마트 계약과 보안

저스트 플랫폼은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스마트 계약은 프로그래밍된 조건에 따라 거래를 처리하고, 중개인 없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를 통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며,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저스트(JST)코인의 특징

 

 

1) 신뢰성 및 승인 없음 (Trust & Authorization-free)

제3자의 승인 없이 모두를 위한 액세스 및 가용성 모든 거래는 제3자를 매개로 하지 않고 스마트 계약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저스트(JST)코인은 다른 퍼블릭 체인의 토큰을 TRC-20 자산으로 쉽게 변환하는 트러스트 스왑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표준 및 상호 운용성 (Standard & Interoperability)

표준화된 금융 프로토콜 및 계약 기반 DeFi 요인. 더 많은 잠재적인 시나리오를 만들기 위해 프로토콜을 오버레이할 수 있습니다.

 

3) 안전(Secure)

온체인 작업을 추적할 수 있고 제3자 감사를 엄격하게 시행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에 의해 금융 비즈니스 로직이 구현되므로 사용자는 최소한의 위험에 직면합니다.

 

4)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JST 보유자는 JUST 커뮤니티를 공동으로 관리하고 인센티브를 결정하여 차세대 DeF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을 모을 수 있습니다.

 

5) 효율성

성능이 우수한 TRON 네트워크는 낮은 처리 수수료와 더 빠른 트랜잭션 경험을 제공합니다.

 

6) 투명성​

모든 사람이 총 공급량, 총 적립금 및 자산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스트 로드맵

1) 2020년 2분기

– OpenPlatform: 개발자 SDK 와 API doc 구현

– USDJ사용처 확대, Multiple-Pair도입

– JST 런치베이스 완료

 

2) 2020년 3분기

– 탈중앙화 거래소에 USDJ 및 JST 상장

– 트론 네트워크 기반 DApp에 USDJ 연동 및 지원

– JUST 포럼 및 커뮤니티 출범

– USDJ 기반 파생상품 출시

 

3) 2020년 4분기

– JUST 2.0 출시

– 다중담보 자산 지원

– USDJ 기반 DeFi 상품 출시 및 확대

 

저스트(Just) 생태계

<생태계의 규모>

저스트(JST)의 홈페이지에 의하면 트론은 시가총액이 높은 코인이기 때문에 디파이 규모와 트론 네트워크에 잠긴 물량의 규모도 큰 편임을 강조 하고 있습니다

 

1) 저스트(Finance) 플랫폼:

저스트(JST) 플랫폼은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은 이를 통해 다양한 금융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출, 예치, 거래 등의 서비스를 통해 자산을 운용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2) JST 토큰 홀더:

저스트(JST) 토큰을 보유한 사용자들은 저스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과 보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토큰 보유량에 따라 추가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플랫폼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스테이킹 참여자:

저스트(JST) 토큰을 스테이킹하는 사용자들은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안에 기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은 토큰을 일정 기간 동안 잠그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추가적인 JST 토큰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4) 개발자 및 파트너:

저스트(JST) 플랫폼의 개발자 및 파트너는 플랫폼의 기능과 생태계의 확장에 기여합니다. 개발자들은 스마트 계약을 개발하고 플랫폼의 기능을 개선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파트너들과의 협력은 추가적인 기능 및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합니다.

 

5) 사용자 및 커뮤니티:

저스트(JST) 플랫폼의 생태계는 사용자들과 커뮤니티의 활발한 참여에 의해 더욱 번영합니다. 사용자들은 플랫폼을 이용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커뮤니티는 정보 교류와 협력을 통해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합니다.

 

 

 

터치하면 패턴 바뀌는 'Adobe' 디지털 드레스

AI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어도비의 '패스트' 드레스 실시간으로 무늬, 패턴이 바뀐다. 영화에서 보던 CG같은 미래를 그냥 실제로 구현해버림. 소프트웨어(SW) 개발사 어도비가 이번에는 버튼 하나

phillipoh.tistory.com

 

오픈씨에 NFT 민팅 방법, 비용의 모든 것

NFT 거래 플랫폼 별 비교 NFT 작품 거래 플랫폼 중에서 가장 사용자가 많은 곳이 바로 오픈씨(OpenSea)인데요. 전 세계의 창작자를 비롯해 투자자(아트 컬렉터)들이 많이 모여있기 때문에 NFT 작품 거

phillipoh.tistory.com

 

플레어(Flare)란? FLR 코인

플레어(Flare)는 다른 체인과 인터넷의 무결성 높은 데이터에 대한 탈중앙화된 액세스를 제공하여 블록체인을 더욱 유용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EVM 기반 레이어 1입니다. 서로 다른 블록체

phillipo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