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 크립토 web3/코인 토큰 개별정보

메타버스 코인 RNDR(렌더)

by Memepro 2023. 5. 31.
728x90

메타버스 코인 RNDR(렌더) 한 달 새 390% 폭등

자오창펑 CEO 가 며칠 전 AMA에서 바이낸스의 메타버스 계획에 대해 발언한 다음에 최근 메타버스 관련 토큰의 상승세가 눈에 띕니다. 특히 메타버스 개념 코인 RNDR(렌더)은 지난 30일 동안 390.9% 급등하는 등 맹렬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RNDR 코인 무엇입니까?  챗GPT 활용 계획은?

 

 

RNDR, 한 달 새 390% 폭등, 챗 GPT 활용 계획?

렌더 네트워크의 토큰인 RNDR(렌더 토큰) 가격이 한 달 새 390.9%  상승했습니다.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렌더 네트워크는 RNDR의 ‘소각 및 민팅 균형'(BME) 매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제안에 대해 렌더다오(DAO, 탈중앙화자율조직)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제안의 내용은 BME를 구현해 RNDR을 아티스트와 운영자 간의 지불 수단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줄스 어백 렌더 네트워크 공동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챗GPT(ChatGPT)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가 나오면 다양한 항목을 RNDR 그래프로 출력 가능하도록 공급할 것”이라며 “렌더 네트워크를 위한 3차원(3D)·4차원(4D)·뉴럴 래디언스 필드(NeRF) 인공지능(AI) 아트에 대해서도 실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메타버스와 NFT의 영향을 받아 큰 폭으로 상승한 메타버스 코인 중에 커머스 중심의 메타버스 마켓 플레이스를 표방하는 하이스트리트(HIGH)가 있습니다.

하이스트리트(HIGH) 가격은 단 48시간 만에 1.30달러에서 거의 4달러로 약 200% 급등했습니다.

 

 

RNDR 폭등의 최대 수혜자가 알라메다?

흥미로운 것은 RNDR 폭등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가 파산 보호 신청을 한 FTX 자회사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라는 점입니다.

 

알라메다 리서치가 파산 신청을 한 뒤 이 회사 지갑은 청산인의 관리로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청산인의 부적절한 운영으로 그 사이 1,100만 달러의 청산이 벌어졌고 420만 달러의 추가 손실도 입힌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런데 청산인이 처음 알라메다 자산을 모으기 시작할 때만 해도 RNDR 토큰 가격이 0.42달러에 불과했지만 8일 한때 2.18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 8일 오후 3시 37분 현재 가격은 2.02달러로 내려온 상태지만 알라메다 지갑의 RNDR 자산은 2023년 들어 지금까지 5배나 불었습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계정인 0xscope에 따르면, 알라메다는 현재 약 686만 RNDR를 보유하고 있는데 현재 가치는 약 1,430만 달러입니다. 다른 자산으로는 BIT 1억 개(약 5,800만 달러), 15,000 ETH(2,500만 달러), 4,714만 USDT와 4,089만 USDC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RNDR 토큰(렌더 네트워크)이란?

RNDR 코인은 2017년 출시된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 ERC-20 유틸리티 토큰으로, ‘렌더 네트워크’의 지불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렌더 네트워크(Render Network)는  OTOY 산하의 분산형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렌더링 솔루션으로, 렌더링(이미지 합성)이 필요한 창작자와 유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가진 사람을 연결합니다. 이 네트워크의 목표는 블록체인을 통한 3차원(3D) 콘텐츠 제작을 통합하고 오픈 메타버스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렌더링이 더 이상 하드웨어 조건에 제한되지 않도록 하고, 적은 시간과 비용만으로 창작자들에게 디지털 권한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메타버스 개발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OTOY는 2008년에 설립됐고 RNDR은 2017년 10월 토큰 판매를 진행했습니다. 렌더 네트워크는 2020년 4월 전면 출시돼 사용되고 있으며 애플, MS 아주르(Azure), 구글, 디즈니, 유니티(Unity) 등 대형 기업과도 쌍방 협력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RNDR은 2021년 말 멀티코인(Multicoin) 등의 주도로 3,000만 달러의 자금을 투자받았다.

💡 렌더링은 2차원에 표시된 물체를 3차원 상에서 사실적으로 보이게 하는 작업입니다.

 

728x90

 

렌더(RNDR) 네트워크의 역사

렌더(RNDR) 네트워크 아이디어는 GPU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 전문 업체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로스앤젤레스 테크 회사 OTOY의 대표 Jules Urbach에 의해 2009년에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이 네트워크의 아이디어는 전 세계 GPU의 사용을 개선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컴퓨팅 능력이 필요한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연결하여 하드웨어를 유휴 상태로 두고 그것을 수익화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려는 것입니다.

 

렌더 토큰은 이러한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 암호화폐에 익숙하지 않은 신규 이용자가 렌더 크레딧을 활용해 편하게 네트워크상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렌더 네트워크(RNDR) 작동원리

RNDR 렌더 네트워크는 크리에이터와 노드 운영자의 두 가지 주요 역할로 구성됩니다.

크리에이터: 추가 GPU 컴퓨팅 성능이 필요한 3D 이미지 크리에이터

노드 운영자: 유휴 GPU 컴퓨팅 성능을 가진 사용자

렌더 네트워크는 렌더링 작업이 필요한 사용자인 ‘크리에이터’와 렌더링을 처리할 유휴 GPU가 있는 사용자인 ‘노드 운영자’를 연결합니다.

 

우선 크리에이터가 렌더링 작업을 요청합니다. 요청한 렌더링 작업에 대한 견적이 RNDR로 계산됩니다.이어 크리에이터가 렌더링 비용을 지불하면 토큰과 렌더링 세부 정보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첨부됩니다.

 

* 이때 렌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RNDR은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에스크로에 저장됩니다.다음에는 크리에이터가 요청한 작업은 전문가가 별도로 확인해 노드 운영자에게 전달됩니다.

노드 운영자는 작업을 수락하고 자신의 GPU로 렌더링을 처리한 뒤 이를 렌더 네트워크로 보냅니다.이후에 크리에이터에게 전달되는 완성본에는 워터마크가 표시됩니다.최종적으로 결제가 완료되면 노드 운영자가 RNDR을 받게 됩니다.

 

* 이 과정에서 렌더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유지의 대가로 노드 운영자에게 지급된 RNDR의 일부분을 받습니다. 이때 수수료는 0.5~5%로, 크리에이터와 노드 운영자의 수요에 따라 요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렌더 네트워크의 구성

레이어 1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네트워크):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아주르(Azure), 구글 클라우드 A2 등에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노드와 같이 매우 높은 신뢰성과 폐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스튜디오에만 개방되어 있으며 아직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레이어 2(우선순위) : 레이어 3보다 강력하며 평균 속도가 빠르고 더 복잡한 내용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3(이코노미): 가장 경제적인 렌더링 솔루션입니다.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지만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간에 대한 급하지 않은 작업에 적합합니다.

 

RNDR 포인트

토큰과 달리 RNDR 포인트는 페이팔(Paypel)과 스트라이프(Stripe)를 지원하며 RNDR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크리에이터가 렌더 크레딧을 이용해 작업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때 노드 운영자에게는 렌더 토큰이 지불됩니다.

네트워크 자체의 유지 관리를 위해 네트워크에 약간의 수수료가 지불되며 최근 NF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렌더는 가까운 장래에 더 많은 수요를 보게 될 것입니다.

 

 

RNDR 코인의 장점

RNDR 코인은 전 세계 분산 컴퓨팅 리소스와 사용자를 연결함으로써 작동합니다.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네트워크 상의 프로바이더로부터 필요한 서비스의 지불에 사용할 수 있는 RNDR 토큰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그 후, 제공자는 렌더 코인으로 지불 받게 되며, 렌더 코인은 다른 통화로 환산 되거나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지갑에 보관될 수 있습니다.

 

또 렌더 코인 플랫폼은 사용자가 서드파티 서비스나 중개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한 사용자의 지갑에서 다른 사용자의 지갑으로 직접 지불을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상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할 때 별도의 수수료가 필요 없기 때문에 거래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 자금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렌더 코인은 자체 네이티블 블록체인을 통해 개인 정보 보호 및 익명성을 제공하므로 타사 또는 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데이터 추적 또는 모니터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RNDR 코인의 거버넌스 및 보상

크리에이터와 노드 운영자 간의 더 나은 협력을 위해 RNDR에는 일련의 평가 메커니즘, 즉 평판 점수가 있습니다.

평판 점수는 네트워크 리소스 할당 프로세스의 핵심이며 평판 점수가 높은 크리에이터는 렌더링 작업에 더 빨리 진입하고 렌더링 중에 더 많은 노드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평판 점수가 높은 노드 공급자는 평판 점수가 낮은 마이닝(채굴) 노드보다 더 빨리 작업 할당을 받을 것입니다.

 

크리에이터의 평판 점수는 크리에이터가 작업을 업로드할 때 렌더링 매개변수를 주의 깊게 확인하여 네트워크 정체를 유발하는 렌더링 프로세스 중에 반복적인 신청 또는 취소를 줄입니다. 노드 운영자의 평판 점수는 렌더링 작업의 성공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평판 점수가 높을수록 우선 순위 노드 계층에 진입하고 더 높은 수준의 작업을 수락하고  더 많은 토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렌더 RNDR 코인 전망

RNDR 코인의 미래 전망 분석은 주로 기술 및 토큰  2가지 관점으로 봅니다.

 

RNDR 기술 측면

일반적으로 GPU로 알려진 그래픽 처리 장치는 게임이나 비디오 편집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의 필수 부분입니다 비디오 콘텐츠가 현대 사회에서 큰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 데스크톱 컴퓨터를 사용하여 간단한 비디오를 렌더링하는데 몇 분에서 몇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렌더 네트워크는 이러한 문제와 Web3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컴퓨팅 성능 요구 사항을 해결하며 이 유틸리티로 인해 네트워크의 기본 토큰인 RNDR은 코인게코에서 주간 시간 프레임에서 91% 상승했습니다.

또한 현재 10,000명 이상의 활성 사용자가 있으며 매월 100만 개 이상의 토큰이 작업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FIFA의 World 11 플레이어 공개, 애플의 M1 이벤트 영상, 로빈후드(Robinhood)의 암호화폐 광고 등 NFT뿐만 아니라 실제 기업들도 렌더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RNDR 은 거래에 관여하는 중개자 없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직접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오픈소스 암호 화폐 입니다.

 

혁신적인 기능과 서비스 사용과 관련된 저렴한 비용으로 렌더 코인은 타사나 정부에 의해 데이터 추적될 염려 없이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모든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옵션이라 볼 수 있습니다.
 
 

RNDR 토큰

토큰 측면에서 분석할 때 상장된 거래소, 거래량, 발행량, 시가총액을 비교해 보면서 규모와 기본적인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상위 5개의 글로벌 대형 거래소들에 모두 상장되어 있네요. 그뿐만 아니라 거래량도 잘 분배되어 있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시가총액 1,800억 원대로 아직 소규모 알트라고 구분되고,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업비트 BTC 마켓에만 상장되어 있지만, 추후 원화 마켓에도 발을 들인다면 큰 호재로 작용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렌더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 지원 프로젝트로, 개인이 미사용 GPU 성능을 기여하여 프로젝트가 모션 그래픽 및 시각 효과를 렌더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 보상으로 사용자는 네트워크의 기본 유틸리티 토큰인 렌더 토큰(RNDR)을 받습니다. 렌더는 사람과 기업이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활용도가 낮은 컴퓨팅 성능을 활용할 수 있는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3D 환경 및 기타 시각 효과를 렌더링하고 스트리밍하는 표준 프로세스를 크게 단순화합니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는 메타버스의 차세대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를 위한 필수 부분입니다.

 

 

 

저스트(Just)란? JST 코인

저스트(Just)란? JST 코인 저스트(JST)는 트론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플랫폼입니다. 트론 블록체인에서 운영되는 첫번째 디파이(DeFi) 프로젝트이며, 스마트계약 기반 분

phillipoh.tistory.com

 

리도다오(LDO) LDO 코인 정보

리도다오(LDO)란? 리도다오(Lido DAO, LDO 코인)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리도(LDO)는 리도(Lido) 프로토콜과 관련되어 있으며, 탈중앙화된 금융(DeFi) 생태

phillipoh.tistory.com

 

월드코인(WLD)은 스캠인가?

월드코인(WLD) 새로 출시된 이더리움(ETH) 기반 암호화 프로젝트 월드코인(WLD)이 출시 이후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월드코인(WLD)이 ‘개인 정보’ 논란에 직

phillipoh.tistory.com

 

타오르는 비트코인 'ETF 승인 기대감'

블랙록, SEC에 ETF 신청서 수정제출 “SEC가 대화에 나섰다”...업계 반색 비트코인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매파적 기조 발언과 장기물 국채 금리 상승세에도 견조한 상승

phillipoh.tistory.com

 

반응형